원가를 배분하는 목적
공통으로 사용되는 원가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대상이 되는 원가에 적합하게 대응시키고 외부 보고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고자산이나 이익을 측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재고자산의 평가는 기업의 순이익 산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히 산출하여야 하며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합리적인 원가배분은 제품의 적정 가격을 산정함으로써 매출의 증가에 도움이 되고 경영자의 의사 결정의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원가를 배분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원가대상을 선택하고 배분할 원가를 집계해서 배분기준에 맞게 원가를 배분하는 것입니다.
원가를 배분하는 부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원가를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입니다.
제품을 만드는데 직접적으로 들어간 원가는 바로 배분할 수 있지만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경우라면 배부기준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인위적인 배분은 합리적인 기준을 설정해야 합니다.
원가를 배분하는 기준의 종류
수혜기준의 원가 배분 - A가 원가대상이고 B가 공통으로 분배되는 원가라고 한다면 B의 공통 원가로 인해 매출이 증가하였 때 매출증가액을 기준으로 배분하는 것을 말합니다.
부담 능력 기준의 배분 - 부담이 가능한 능력에 따라 원가를 배분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현장관리에 관련된 공통 원가를 다른 현장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배분하는 경우 원가를 부담할 능력이 더 많은 현장의 원가가 많이 배분되는 것을 말합니다.
공정성과 공평성에 의한 배분
원가를 배분하는 유형
보조 부문 원가를 제조공정에 배분
제조 간접원가를 개별 제품에 배분
제조공정에서 집계된 제조원가를 완성품 및 기말 재공품에 배분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조 부문 원가를 배분하는 기준
전력부문에 대한 배부기준은 사용한 전력량이나 전기용량에 따라 배분합니다.
인사관리 부문에 대한 배부기준은 종업수에 따라 배분합니다.
수선유지 부문에 대한 배부기준은 수선한 횟수나 수선유지기간에 따라 배분합니다.
구매부문에 대한 배부기준은 재료의 사용량에 따라 배분합니다.
보조 부문 원가를 배분하는 방법
직접 배분법(direct method)
보조부 문의 상호 간 연관성과 관계없이 제조부문에 사용한 용역을 직접 배분하는 방법입니다.
단계 배분법(step method)
보조 부문 원가의 배분 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배분하는 방법입니다.
상호 배분법(reciprocal methdo)
보조 부문 간의 상호 관련성을 생각하고 배분하는 방법입니다.
'회계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금 (0) | 2019.05.21 |
---|---|
신제품 개발을 위해 사용된 비용처리 (0) | 2019.05.18 |
비품 구매부터 폐기까지 회계처리 총정리 (0) | 2019.05.10 |
제조원가의 흐름 (0) | 2019.05.03 |
원가(cost)의 특성 (0) | 2019.05.02 |